<위 버튼 클릭 시 바로 이동>
내신 등급 비율
내신 등급 | 석차 누적 비율 | 등급 분포 |
1등급 | 4% 이하 | 4% |
2등급 | 4% 초과 ~ 11% 이하 | 7% |
3등급 | 11% 초과 ~ 23% 이하 | 12% |
4등급 | 23% 초과 ~ 40% 이하 | 17% |
5등급 | 40% 초과 ~ 60% 이하 | 20% |
6등급 | 60% 초과 ~ 77% 이하 | 17% |
7등급 | 77% 초과 ~ 89% 이하 | 12% |
8등급 | 89% 초과 ~ 96% 이하 | 7% |
9등급 | 96% 초과 ~ 100% 이하 | 4% |
내신을 계산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은 내신 등급의 비율입니다. 내신 등급은 보통 5등급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퍼져 나가는 형태를 띠며, 등급이 높아질수록 해당 등급에 포함되는 학생 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표준 편차에 따른 분포를 따르기 때문입니다.
이 구조 때문에, 상위권인 1등급과 2등급을 받는 것은 상대적으로 더 어렵습니다. 내신 등급은 석차 누적 비율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이 비율에 따라 각 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수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학습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 수 별 등급 계산법
내신 등급 | 누적비율 | 계산 공식 | 등급 인원 |
1등급 | 4% | 220명 x 4% = 8.8(=9)명 | 9명 |
2등급 | 11% | 220명 x 11% = 24.2명 | 24명 – 9명 = 15명 |
3등급 | 23% | 220명 x 23% = 50.6(=51)명 | 51명 – 24명 = 27명 |
4등급 | 40% | 220명 x 40% = 88명 | 88명 – 51명 = 37명 |
5등급 | 60% | 220명 x 60% = 132명 | 132명 – 88명 = 44명 |
내신을 계산할 때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학생 수에 따른 등급 산출 방법입니다. 내신 등급을 계산할 때는 같은 학년의 전체 학생 수에 누적 비율을 곱하는 공식을 사용합니다. 이 공식에 따라 각 등급에 해당하는 인원이 몇 명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학년의 전체 학생 수와 누적 비율을 대입하여 1등급, 2등급에 속하는 학생 수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산할 때 반올림이 적용된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반올림 규칙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기 때문에, 소수점 이하의 숫자가 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험의 배점이나 난이도에 따라 동일한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여러 명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등급 산출 방식이 달라집니다. 동점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동점자들이 어느 등급에 속할지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계산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동점자 수와 그들이 전체 학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해 등급을 부여하게 됩니다.
동점자 계산법
![](https://blog.pengunews.com/wp-content/uploads/2024/08/image-9.png)
- 동점자가 다음 등급 총원보다 적은 경우: 동점자가 등급 내에 포함된 총원보다 많더라도, 다음 등급의 총원보다 적다면, 모든 동점자가 상위 등급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1등급의 총원이 10명인데, 1등급에 포함될 수 있는 동점자가 7명이라면, 이들은 모두 1등급을 받습니다.
- 동점자가 다음 등급 총원보다 많은 경우: 반면, 동점자가 다음 등급의 총원보다도 많다면, 동점자는 모두 하위 등급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등급의 총원이 10명이고, 2등급의 총원이 16명인데, 동점자가 23명이라면, 이들은 모두 2등급으로 처리됩니다.
이런 처리 방식은 상대평가 체계에서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규칙 중 하나입니다.
내신 산출법
![](https://blog.pengunews.com/wp-content/uploads/2024/08/image-10.png)
수시 등급 계산 방법을 이해했다면, 이제 이 등급을 기반으로 실제 내신 성적을 산출하는 방법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내신 성적은 각 과목의 단위 수와 등급을 반영하여 계산되며, 이는 대학 입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신 등급 산출 공식
내신 성적을 산출하는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내신 등급 산출 공식:
과목 단위 수×과목 등급과목 단위 수×과목 등급
그 후, 이를 모든 과목에 대해 합산한 후, 총 단위 수의 합으로 나누면 최종 내신 등급이 산출됩니다.
이 공식은 각 과목의 단위 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생이 받은 성적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단위 수가 높은 과목에서 좋은 등급을 받는 것이 전체 내신 등급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시
예를 들어, 한 학생이 다음과 같은 성적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단위 수 5인 과목에서 3등급
- 단위 수 2인 과목에서 1등급
이 경우, 각 과목의 등급과 단위 수를 곱한 후 합산하고, 전체 단위 수로 나누어 평균 등급을 계산합니다.
다른 예로, 만약 단위 수 5인 과목에서 1등급을 받고, 단위 수 2인 과목에서 3등급을 받은 경우, 두 과목의 평균 등급이 동일할 수 있어도, 내신 성적을 계산하면 두 번째 학생이 더 좋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